서사적 글쓰기와 분석적 글쓰기에 대해 말씀드린 <에세이 라이팅의 종류 1부>에 이어 이번 글은 묘사적 글쓰기 (Descriptive writing)에 대해 이야기할게요.
아래 표에서 보기에 남아 있는 총 5개의 항목을 보세요.
이중 Descriptive Writing(묘사적인 글쓰기)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한 항목이 있어요.
바로, Sensory Description입니다.
이것은 우리 인간이 지닌 오감을 바탕으로 글을 쓰는 것을 의미해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그리고 촉감
묘사적 글쓰기 하나만 놓고 보았을 때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형식으로 시(詩)를 떠올릴 수 있어요. 또한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시대에 대한 묘사도 익숙하지요.
묘사는 Expository Writing으로 쓴 과학 보고서에 들어갈 수도 있고 Narrative writing으로 쓴 자기소개서에 들어갈 수도 있어요. 토론하며 제 의견을 더욱 잘 전달하기 위해 생생한 묘사를 동원할 수도 있어요.
즉, 묘사를 잘해서 손해 볼 것은 하나도 없으며 이러한 부분은 단 한 단락이라도 어딘가에 들어갈 때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escriptive writing의 가장 큰 특징과 그것을 어떻게 훈련할지 고민해 볼게요.
우선 오감을 동원한다면 이 감각을 통해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죠.
감각을 표현하는 다양한 형용사 by 시카고 라디오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감각 자체를 들여다볼 때보다 아이가 쓰려는 대상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에 대해 위와 같은 표를 작성해서 이 안에 특징을 간단히 적어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어요. 즉, 내가 쓰려는 대상을 떠올리고 그 특징에 대한 형용사를 나열해 보는 거예요.
어른들은 떼 묻지 않은 순수한 아이들의 감각이 팔팔하게 제 할 일을 다 하고 있다고 믿어요. 하지만 아직 감정에 대한 세세한 구분이나 성찰이 발달하지 않았다면 그것을 어떻게 말로 써야 할지는 또 다른 문제예요. 그래서 많은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어떻게 표현할지 몰라서 당황할 거예요.
제 경험 상, 이것은 지극히 정상이에요. 지금은 제 아이가 고등학생이 되어서 영어 선생님으로부터 "단어 선택이 탁월하구나!"라는 칭찬을 받지만, 불과 5년쯤 전엔 자기 캐릭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헤맸어요.
이 일을 통해 저는 아이들이 순수하다는 그 자체로 뭔가 자신에 대해서 본능적으로 잘 알고 더구나 잘 표현할 거라는 미신에 너무 기대지 않아야 한다는 걸 알았어요.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보고, 자신이 보는 대상에 대해서도 표현할 수 있는 적당한 말을 찾는 것은 어쩌면 어른이 되어서도 해야 할 훈련이에요.
이 양식을 통해 아이가 쓰려는 대상에 대해 오감을 동원해서 묘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렇다면 형용사 외에 대상을 잘 표현하기 위해 특히 필요한 어휘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동사예요.
아무 동사나 쓰려고 하지 말아야 해요.
특히, get, put, take처럼 여러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동사보다
자신이 표현하려는 상황에 맞는 동사를 찾으려고 노력해야 해요.
예를 들어, 새로운 뭔가를 해 보려고 처음으로 어디 간다고 하죠. 차 안에서 초조한 마음에 꼼지락 거려요.
이때 I was nervous because... 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이 상황에 딱 맞는 동사를 쓸 수 있어요.
I squirmed because...
squirm 자체가 초조하거나 불편해서 몸을 꼼지락 대는 그 자체를 일 걷는 동사예요.
흔히 글을 쓸 때 Don't Tell! Just Show!라고 하죠. 이 말은 바로 읽었을 때 어떤 장면이며 등장인물의 심리는 어떤 상태인지 상상이 가도록 쓰는 거예요. 글을 읽었을 때 이것이 장황하기만 하고 알맹이가 없는 글인지, 아니면 이것이 적절한 묘사를 통해 직접적으로 'A는 초조하다' 고 쓰지 않아도 그런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글쓰기인지 점검해야 해요.
적절한 동사와 형용사는 바로 Tell 하지 않고 Show 하는 목적으로, 독자의 눈 앞에 장면을 그려주고 떠올릴 수 있게 해요. 그러려면 많은 어휘가 적재적소에서 쓰인 것을 접해 봐야 하고 또 응용해서 써 본 경험이 필요하죠.
위 표에 있는 보기 중에서 Descriptive Writing과 관련된 항목은 2개예요. Sensory description 은 Descriptive writing의 핵심적인 특징이에요. A Fairy Tale (동화)는 그 자체로 상상에 의존해서 쓴 글이기 때문에 장소와 시대, 등장인물에 대한 묘사를 통해 그 이야기 속으로 독자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여요.
에세이 라이팅의 종류 1부 (0) | 2021.03.23 |
---|---|
#StopAsianHate (0) | 2021.03.21 |
잔챙이가 본 미국 입시 스캔들 (0) | 2021.03.20 |
내가 시카고에 심은 미나리 (0) | 2021.03.17 |
에세이가 고생배틀이 아닌 이유 (0) | 2021.03.16 |
댓글 영역